2022년 근로소득세율
근로소득은 사업소득 3.3%, 기타소득 8.8%와 같이 정확한 세율(%)이 없습니다. 소득구간에 따라 세율이 달라집니다. 당연히 월급이 높으면 세율은 높아질 것이고, 낮으면 세율은 낮아질 것 입니다.
근로소득세에는 소득세, 지방소득세(소득세의 10%)가 있습니다.
오늘은 근로소득세를 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다음의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를 다운받아주시기 바랍니다.
근로소득_간이세액표(조견표).xls
0.12MB
빨간색박스 : 월급여 (770,000원 ~ 775,000원)
파란색박스 : 부양가족수 (1~3명)
분홍색박스 : 세액
기본적으로 부양가족수는 1명으로 보시면 됩니다.
본인의 월급이 77만원이라면 근로소득세는 0원입니다.
월급이 300만원인 경우 근로소득세는 어떻게 될까요?
월급이 300만원이고 부양가족수가 1명일 경우 근로소득세는 84,850원입니다.
다음의 네이버 실수령액 계산기를 보면 근로소득세가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2 최저임금 : 근무시간별 최저임금 및 실수령액
2022 최저임금 : 근무시간별 최저임금 및 실수령액 2022년 최저임금이 9,16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2022년 최저임금이 9,160원으로 주휴수당을 포함한다면 10,992원이며 11,000원 수준까지 상승하였
isbj.kr
'노동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 건강검진 과태료 (미수검 불이익 등) (0) | 2021.12.24 |
---|---|
경조사 휴가(공가) 지급은 의무일까? (0) | 2021.12.24 |
연차수당이 퇴직금 산정에 포함되는지 여부 (0) | 2021.12.21 |
경력증명서 발급 거부시 대처방법 (0) | 2021.12.17 |
1년 계약직 연차 11개? 26개? (0) | 2021.12.17 |
댓글